전체 글67 연료전지 천연가스 구성요소 화학반응 종류 서론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운송수단은 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CO2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기후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젤이나 가스 엔진 보다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습니다. 연료전지는 일반 가스 터빈이나 내연 기관과 달리 펌프, 팬과 같은 움직이는 부분이 적고 대량생산되는 부품들이 많으며 낮은 온도에서도 빠르게 작동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곳의 무게와 부피가 크고 시간이 좀 걸리며 일반 운송수단보다 비용이 비싸 저비용의 연료전지 운송수단이 나올 수 있도록 계속해서 개발되는 중입니다. 이러한 연료전지에 쓰일 수 있는 연료로는 수소, 천연가스, 석탄, 나프타, 알코올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이 중에서 천연가스를 연료로 쓰는 연료전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연료전지.. 2023. 6. 28. 포집공정 유형 pre-combustion post-combustion oxy-fuel combustion 1. Pre-combustion Pre-combustion 기술은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서, 화석연료를 연소하기 전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화석연료를 가스화과정(gasification)을 통해 합성가스(synthesis gas)로 변환한 후, CO를 산화시켜 CO2를 분리하여, H2 만 연료로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CO2와 H2를 분리하는 Air separation unit(ASU)가 가장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흡수제를 사용하여 분리합니다. 질소나 Temperature의 조절을 통해 H2S와 COS를 제거하는 흡수제를 이용하거나, Pressure swing adsorption(PSA)의 기술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선별적으로 흡수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분리합니다.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IGCC(Int.. 2023. 6. 28. CCS기술의 정의 포집공정 적용 위치에 따른 분류 및 발전소 효율 손실 가능성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온실가스 작용으로 지구의 평균 기간은 오랜 기간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최근 들어 온실가스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심각한 기후 변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CCS에 대해서 나타내었습니다. CCS의 정의 및 포집공정 적용 위치에 따른 분류, CCS를 발전소에 적용했을 때 효율의 손실 가능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CCS 기술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지구 평균기온을 상승시키며, 이에 따른 기후 변화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의 원인은 인류가 증가하면서 여기서 야기되는 엄청난 배출 증.. 2023. 6. 28. IGCC의 구동 원리 및 석탄발전소와의 차이점 플랜트 구성 요소 IGCC (Integrag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는 석탄을 고온 고압에서 가스화시켜 CO, H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Syngas)를 제조 및 정제하여 Syngas를 이용해 가스터빈을 구동하고, HRSG(보일러)를 거쳐 증기터빈을 구동하는 통합적인 사이클을 이용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이 글에서는 IGCC의 구동원리와 석탄발전소와의 차이점, IGCC power plant의 전체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1. IGCC 구동 원리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은 수소, 액화석유 및 전기까지 만들 수 있는 신기술입니다. 석탄을 고온, 고압 컨디션에서 가스화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이기도 합니다. 먼저 ASU에서 공기를 질소와 산소로 분리시켜 가스화기에서 순산소를 이용하.. 2023. 6. 28.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